2008-05-16
경기도차원 미국산 쇠고기 대책을
2008. 5. 22(목) - 경인일보 기고문 -
온 나라가 미국 소 수입 문제로 떠들썩하다. 이명박 대통령을 탄핵하자는 인터넷 서명이 130만명을 넘어섰고, 연일 촛불시위가 도심 한복판에서 벌어지고 있는 등 사태가 예사롭지 않다. 대통령께서 싸고 질 좋은 고기보다는 싸고 안전한 고기라고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도가 할 일은 무엇일까? 촛불시위를 독려하는 것도, 전문가인양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다고 떠들어대는 것도 아니다. 미국산 쇠고기 안전성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이 이미 견해를 제시했으며, 이에 대한 판단 여부는 오로지 국민들의 몫이다. 우리는 그에 따른 대책을 강구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쇠고기 자체를 기피하고 있는 국민들의 불신이 가장 큰 문제요, 이에 따라 축산업의 붕괴도 우려되는 바이다. 최근 사료 값은 급격히 오르고 있는데 비해 소 값은 떨어져 축산 농가의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닌데, 여기에다 소비자들마저 외면한다면 도내 축산업의 몰락은 불보듯 뻔한 일이다. 그 뿐만 아니라 정육점, 꼬리곰탕집, 갈빗집 등 그 파동은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도민의 머슴으로서 얼마나 책임의식을 가지고 함께 아파하고 있는가! 그렇다고 중앙정부의 처분만 기다리며 손 놓고 있을 것인가!
장담컨대 정부가 내놓은 원산지 표시 강화만으로는 국민들을 안심시킬 수 없다. 불신이 만연한 만큼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일본은 도축되는 소의 뇌를 일일이 검사(전수조사)하고 있다. 광우병은 뇌를 검사해야만 감염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소비자가 고기를 살 때 그 소의 나이와 어미 소 생산지역, 이동경로 등을 확인(이력추적)할 수가 있다. 광우병이 발병했으면서도 일본 소비자들이 일본산 쇠고기를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이유이다.
한국에서는 광우병이 발생하지 않았던 터라 일본처럼 전수조사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이력추적 시스템'은 도 차원에서 충분히 도입할 수 있는 제도이다. 현재도 브루셀라병 관리 차원에서 제한적인 이력 추적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전면적으로 확대시행하여야 한다고 본다. 축산농가에서부터 도축장, 도매업, 유통업, 소매상과 식당 등 생산에서부터 소비의 전 단계에 걸쳐 시행되어야만이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을 것이다.
경기도 안전 농산물의 대표인 G마크와 함께 소비자들이 직접 인터넷으로 소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한다면 대한민국의 절반이 넘는 수도권 소비자들이 "경기도 쇠고기는 믿고 먹을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하지 않겠는가
도민들의 먹거리인 쇠고기를 안전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야말로 경기도가 마땅히 짊어질 의무이며, 다른 지자체들도 경기도를 뒤따르게 될 것이다. 세계속의 경기도, 대한민국의 미래, 경기도가 열어간다는 슬로건처럼 우리 국민이 안심하고 쇠고기를 먹을 수 있도록 경기도가 앞장서 보자!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원문출처 :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79163
2008-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