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6월의 하늘은 어느 해 보다도 이상하리만큼 우울해 보이고 을씨년스럽게 보인다. 지나간 과거보다도 희망을 기대해서인지 실망스런 서민의 표정들이 냉정해 보인다.
언제나 그랬듯이 6월의 하늘은 늘 우리를 슬프게 만들었고 가슴 한 구석 어디엔가 깊게 쌓여있던 응어리가 긴 한숨을 낳게한다.
우리민족의 가슴앓이가 깊은 한으로 가슴에 메여있어 6월의 슬픈 이야기를 잊으려 해도 하늘만 바라보면 가슴이 쓰려오는 것이다 동족상잔의 6·25를 통해 민족의 피와 눈물을 조국산하에 흘렸고 개척의 시대 독재정권과 맞싸우며 ‘한일국교정상화반대’를 외치며 거리를 뛰쳐 다녔던 1964년 6월과 전두환 정권하에서 ‘민주헌법쟁취’를 외치며 숱한 고난을 이기고 6.29선언이라는 국민적 승리를 일구어 낸 1987년 6월의 하늘을 되새겨 보노라면 과연 지금의 6월의 하늘과 무엇이 달랐을까하는 의구심이 든다.
지금 6월의 하늘은 슬픈 하늘이라기보다는 무엇인가 답답한 가슴의 하늘이다. 잔뜩 흐린 검은 구름 속에 하루 종일 내리는 빗물은 무언의 화를 내는 가슴 아픈 모습이다. 지금 6월의 하늘은 먼 훗날 어떤 모습으로 역사에 남을지 궁금하지만 요즈음 청계천을 메우는 촛불집회의 의미는 무슨 의미로 남을지 답답할 뿐이다.
우리 국민들이 이명박 정부에게 기대를 많이 건 탓인지 초반부터 실망을 많이 한 탓에 예사롭지 않은 반향의 모습들이다. 정말 누구보다도 국민의 가슴을 헤아려 줄 것이라는 기대를 걸고 압도적인 국민적 지지를 얻어 당선된 이명박대통령은 취임100일을 맞아 집권초기 실수를 인정했지만 국민의 아량은 촛불 속에 사라지고 그저, 6월의 하늘 원망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이명박 정부 출발에 무엇인가 문제가 있는듯하다. 경제는 악순환되고 서민의 고통의 소리는 점점 커가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명박 정부는 고환율 정책으로 수출촉진을 가져와 기업의 수익증대를 얻고 이에 따른 투자 활성화를 통해 경기 회복을 이룸과 동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성장의 선순환’을 이루려 했지만 정반대의 악순환 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조금 냉정히 따져본다면 이명박 정부의 국가 경영책임을 지고 있는 각 부처의 담당자들이 세계적 경영 흐름을 좀더 꼼꼼히 판단하여 대처하지 못했고 FTA 협상으로 야기된 쇠고기 문제점을 발생시킨 것에 대한 대처 수습을 국민이 수긍할 수 있도록 해야 했으며 또한 국가 수장인 이명박 대통령은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는 특단의 결단을 내려 어수선한 6월의 하늘을 슬기롭게 달랬어야 했다.
늘 해마다 우울한 6월은 금년만큼은 웃음과 행복으로 맞이하고 싶었지만 또 슬픔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 같다. 물가는 겁 없이 뛰고 있고 이에 따른 영세 자영업자 얼굴엔 깊게 패인 주름만 늘어나고 있다.
도대체 어디서부터 새롭게 시작해야 할지 갈팡질팡 헤매는 국가 지도자들의 모습에 국민은 6월의 하늘만 쳐다보고 있을 뿐이다. 경유가격이 휘발유가격을 능가하는 다소 어처구니없는 일과 LPG가격이 1천원을 넘어서는 현상이니 걷잡을 수 없는 경제 공황 늪에서 허우적거리는 대한민국이 불쌍할 따름이다. 누차 이야기 했듯이 이젠 우리 국민 모두가 함께 대처해 나가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정말 세계 글로벌시대에 살아남지 못한다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우리 함께 6월의 하늘을 바라보며 해맑은 희망의 높고 푸른 6월의 하늘이 되길 용기를 갖고 다시 한번 대한민국의 저력을 모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