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5-07
5·18기념재단, “김문수표 ‘경기도현대사’ 공무원 교재 부적절”
당시 미국역할, 진행과정, 피해자현황 등 왜곡·오류 지적
양근서경기도의원, 도정질문서 미국개입 증거 밝히며 역사왜곡 중단, 전량폐기 주장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도 공무원들에게 교육할 목적으로 제작한 <경기도 현대사>에 대해, 5·18기념재단이 역사적 진실을 전달해야 할 교과서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근서 경기도의원은 7일 열린 경기도의회 본회의에서 김문수지사를 상대로 한 도정질문을 통해 <경기도 현대사>중 5·18광주민주화운동 서술 에 대한 5·18기념재단의 의견을 의뢰한 결과 “이 책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미국의 역할 및 책임과 관련해 왜곡된 주장을 담고 있으며 5·18항쟁의 진행과정 및 피해자 현황 등과 관련해 명백한 오류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 진실을 전달해야 할 교과서로 사용되기에 부적합하다”는 회신을 받았다며 해당 책을 경기도 공무원 교육교재로 활용하려던 계획을 당장 철회하고 전량 폐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5·18기념재단은 광주민주화운동의 기념, 학술, 교육사업을 수행하는 단체로 <경기도 현대사>의 5·18 관련 서술과 관련 “광주 시민에 대한 신군부의 학살행위에 대해 미국의 책임이 가볍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책임을 전적으로 부인하고 있는 이 책은 무엇보다 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전달해야 하는 교과서로서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또, 5·18진압작전에 투입됐던 20사단의 작전지휘권이 10·26 이후 및 5·18전후 한국군의 요청에 의해 한미연합사로부터 한국군에로 이양되었다고 하나 군 이동 및 작전과 관련하여서는 미국과의 합의(협의)가 필요했음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양근서 의원도 김지사에게 “당시 미 군부가 20사단의 투입을 승인한 사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책의 5·18관련 내용의 40%가 미국 책임론을 회피하기 위한 변명으로 일관하며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며 위컴 전 주한미군사령관의 인터뷰 자료를 공개했다.
5·18재단은 이와함께 항쟁의 진행과정에 대한 서술에서 시민 무장의 정당성에 의문을 품게 만들 수도 있다는 점에서 매우 부적절한 내용이고, 사망자와 행방불명자 수 등 피해자 현황도 공식 자료와는 다르다고 밝혔다.
5·18기념재단의 이번 입장은 우편향의 역사 왜곡 논란을 불러일으킨 <경기도 현대사>에 대한 5·18 관련 단체의 첫 공식 입장 표명이다.
2013-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