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웅의원,경제실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일자리지원센터관련

등록일 : 2016-11-10 작성자 : 언론홍보담당관 조회수 : 396

경기일자리지원센터는 20165391백만원의 예산으로 20141124백만원대비 479.6% 증액되어 사업을 추진해왔으나 여전히 일자리 미스매칭문제를 해소시키지 못하고 있음.

 

최근 3년간 시군 일자리센터 구인 및 구직자 현황 자료에 의하면 취업실적이 2014년엔 2013(취업자106,747)대비 31% 증가됐고, 2015년은 2014년 대비 51.5% 증가되었다고 하나 여전히 일자리 미스매칭이 ‘14년 구인일자리 48,650, 구직 일자리 158,862명 발생되었고 ‘15년 구인일자리 26,027, 구직 일자리 154,413명 발생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나타남.

 

특히 올해는 구인부문 199,969명 취업자는 210,212명으로 일자리센터가 일자리 발굴과 일자리 미스매칭 해결에 대한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고 또한 통계를 분석해보면 구인일자리는 ‘14203,506 ’15260,781 128.1% 구직비율은 ‘14313,718 ’15389,167 124.0%120%이상을 증가로 일자리 문제가 콘크리트 화되어 개선될 여지가 없어 보임.

 

일자리 상담사 확충과 취업지원프로그램 확대를 통한 구인 · 구직자에게 밀착 취업지원서비스를 지원하고 보다 효율적인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해결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하여 실업난 해소에

 

참고

1) 최근 3년간 일자리센터 상담사 현황 : ‘14586, ’15605, ‘16614

2) 최근 3년간 사업비 현황

구분

2014

2015

2016

시군일자리센터 상담사 인건비 지원

816,000

3,120,000

4,698,000

시군일자리센터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지원

308,000

231,000

693,000

합계

1,124,000

3,351,000

5,391,000

 

3) 최근 3년간 시군 일자리센터 구인 및 구직자 미스매칭 현황(단위:)

구분

구인부문

구직부문

구인자

취업자

(-)

구직자()

취업자()

(-)

2014

203,506

154,856

48,650

313,718

154,856

158,862

2015

260,781

234,754

26,027

389,167

234754

154,413

2016.8

199,969

210,212

-10,243

299,318

210,212

89,106

 

남지사 공약까지 했으면서 도비 대응엔 고개 돌려고,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 국비 확보에도 전혀 대응 못하고 있어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고 지역 상권을 살기기 위해서 시설현대화사업과 주차환경개선사업, 공동유통물류센터 등 시설조성과 문화콘텐츠 공간도 확보하여 접목시키는 것이 중요함.

 

그런데 최근 5년간 전통시장 각종 현대화 사업 공모 지원 현황을 보면 2015년과 2016년은 도비지원이 전무한 것으로 남지사는 지난 선거에서 공약까지 했으면서 지원엔 고개를 돌려버린 것임. 또한 더욱 심각한 것은 최근 3년간 17개 시·도별 국비확보 현황을 아래 표에서 보듯 184억으로 전국점유율이 6.1%로 밖에 안 되고, 서울, 부산, 강원, 전남, 경북 등보다 적어 경기도의 시장규모나 이용인구수 대비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남. 이는 경기도청이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 국비 확보에도 전혀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됨. 그러다보니 시설현대화 공모사업의 경쟁률이 매우 높을 수 밖에 없고 이러한 공모 사업으로는 시장의 수요를 감당할 수 없을 것임.

 

또한 3년간 고객지원센터 조성을 위한 국비확보도 20143, 20155곳 이었으나 2016년은 3곳으로 매우 저조하고 중소유통을 위한 도매물류센터 추진도 2014년 이후엔 국비 등을 전혀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

 

이에 대해 집행부는 국비지원이 정부주도의 획일적인 분배방식이라고 하나 이는 체계적으로 사전 준비하지 않는 경기도의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정책에 심각한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또한 대형마트에 대응해서 열악한 환경개선을 이루고 특색 있는 차별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전통시장을 살려야 하는 경기도의 노력이 매우 부족하다할 것임.

 

참고

1) 최근 3년간 17개 시·도별 국비 지원현황(단위 : 천원)

구분

합계

배분율

2014

배분율

2015

배분율

2016

배분율

비고

전체

300,133,000

138,836,000

80,494,000

80,803,000

<!--[if !supportEmptyParas]--> <!--[endif]-->

경기

18,447,017

6.1

7,379,000

5.3

6,039,000

7.5

5,029,000

6.2

3,885,000

-년도별 경기도보다 많은 국비를 지원받은 시·도 현황

‘14년 서울, 부산, 울산, 강원, 충북, 충남, 전남, 경북, 경남

‘15년 서울, 부산, 전남, 경북

‘16년 서울, 부산, 강원, 전남, 경북

구분

합계

2014

2015

2016

비고

경기

18,447,017

7,379,000

6,039,000

5,029,000

 

서울

28,111,000

10,000,000

8,611,000

9,500,000

 

부산

35,848,000

11,500,000

12,174,000

12,174,000

 

대구

14,846,000

7,200,000

2,646,000

5,000,000

 

광주

15,382,000

6,325,000

5,695,000

3,362,000

 

울산

13,399,000

9,548,000

 

 

 

강원

19,744,000

10,033,000

3,407,000

6,304,000

 

충북

20,305,000

11,429,000

 

 

 

충남

13,886,000

7,459,000

 

 

 

전남

33,357,000

16,209,000

10,488,000

6,660,000

 

경북

25,932,000

11,215,000

7,147,000

7,570,000

 

경남

20,201,000

11,940,000

3,991,000

4,270,000

 

합계

300,133,000

138,836,000

80,494,000

80,803,000

 

 

2) 최근 5년간 전통시장 각종 시설현대화사업 공모전 금액지원

연도

요구 및 진행시장 수

사업비

국비

도비

·군비

자부담

138

67,199,842

40,719,000

3,630,588

20,501,345

2,348,909

2016

14

7,826,663

5,029,000

 

2,300,999

496,664

2015

45

11,948,909

6,039,000

 

5,632,139

277,770

2014

17

13,401,521

8,579,000

240,000

4,369,688

212,833

2013

31

15,926,394

9,987,000

1,532,880

3,917,762

488,752

2012

31

18,096,355

11,085,000

1,857,708

4,280,757

872,890

 

3) 최근 3년간 고객지원센터 관련 추진현황

구분

시장수

사업금액

비고

국비

도비

시군비

2014

4

2,467

1,480

 

987

 

2015

5

1,755

1,025

 

730

 

2016

3

750

520

 

230

 

 

4) 최근 3년간 중소유통 공동 도매물류센터 추진현황

구분

수원시(완료)

고양시(완료)

광명시(완료)

비고

2014

4,124

630

463

3,031

 

국도비

소계

2,049

378

278

1,393

 

국비

2,049

378

278

1,393

 

도비

 

 

 

 

 

시비

1,633

189

139

1,335

 

자부담

412

63

46

303

 

 

도비 매칭 사업 기업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

 

소규모 기업환경개선은 진입로,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과 식당, 화장실, 기숙사 등 개보수를 통한 근로환경개선사업 그리고 작업대, 전재대, 작업공간 등 작업환경 개보수로 영세한 소규모 사업체와 노동자의 노동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이며 자부담 40%와 시군비 30%에 도비 30%를 매칭 지원하고 있으나 기업의 수요에 비해 지원규모는 매우 적은 편임.

 

이 사업의 최근 3년간 수요와 지원현황을 보면 2014년에 112개 기업이 지원을 받았으나 이는 대상기업이 59,976개소의 0.18%, 신청한 기업수는 145개소 대비 77.2%에 해당되고, 2015년에는 237개 기업이 지원을 받아 이는 대상기업이 64,274개소의 0.36%, 신청한 기업 수 328개소 대비 72.2%이고, 2016년은 256개 기업이 지원을 받아 전체 대상기업 64,750개소의 0.39%, 신청개업수 333개소 대비 76.8%에 그쳐 지원 실적이 매우 낮은 편임. 심각한 것은 실질적으로 정보를 접하지 못해 많은 영세기업이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을 신청하지 못한 기업이 많다는 것이고, 시군의 매칭사업으로 시군이 매칭을 하지 않아 경기도의 일부 시·군 소재의 기업은 전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임.

 

따라서 경기도는 더 많은 영세 소기업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매칭비율을 높이고 일선 시군의 참여를 유도해 영세기업의 작업환경과 노동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참고

1) 최근 3년간 사업비 현황(천원)

구분

2014

2015

2016

예산액

3,513,000

4,344,600

5,800,000

 

2) 최근 3년간 사업현황

구분

사업비

대상

기업수

신청

기업수()

지원

기업수()

비율

대상기업대비

신청기업대비

2014

3,507,250

59,976

145

112

0.18

77.2

2015

4,338,941

64,274

328

237

0.36

72.2

2016

5,392,193

64,750

333

256

0.39

76.8

 

이외에도 기업의 현장애로기술, 디자인개발, 기술혁신을 위한 도비 매칭에 있어 그 비율을 적극적으로 개선해야 할 상황에 이르렀음. 특히 패밀리기업지원사업, 디자인개발 지원사업, 스타트기업 육성프로젝트 사업 등의 매칭비율이 낮아 이를 개선하여 경기도의 성장가능성이 많은 기업을 강소기업으로 육성시키고 지역의 편중 없이 경기도 소재의 더 많은 기업이 지원받아 어려움을 해소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창업보육센터 운영 창업자와 창업초기 사업자에 실질적 지원 공감 얻지 못하고 있어...

 

창업보육센터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초기 기업에게 사업공간 제공, 경영 기술지도 및 정보제공 등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창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업 성공률을 제고시켜 중소·벤터기업 창업육성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보육기관으로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업체는 저렴한 임대사업장 확보 및 공동범용설비 활용에 따른 창업자금 부감이 감소되고 경영, 기술, 법률 컨설팅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음. 따라서 창업보육센터 지원과 운영이 매우 중요함.

 

그러나 최근 3년간 창업보육센터 운영현황을 살펴보면 심각한 의구심이 들지 않을 수 없음.

지식재산권 등록건수는 20141,124, 2015650, 2016359건으로 매년 하락되고 있고, 창업보육센터 입주자도 연평균 1,140명으로 창업보육센터별 약 24명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매우 미미함.

 

그럼에도 창업보육센터별 평가와 지원내용을 보면 2016년의 경우 S등급 13개소, A등급 13개소, B등급 14개소이고 C등급은 겨우 5개소로 성과평가가 아닌 너무 형식적이 일률적으로 나눠먹기식 지원으로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임

 

창업보육센터는 센터장의 추진의지와 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실질적 운영의 성과가 달라지고 있음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므로 이를 포함한 근본적인 개선책을 제시해야 할 것임

 

참고) 창업보육센터 운영지원 관련

1) 최근 3년간 사업비 내역(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창업보육센터운영지원

394,000

394,000

394,000

 

2) 최근 3년간 연도별 창업보육센터별 현황

구분

지식재산권 등록건수

고용인원()

비고

2014

1,124

3,183

 

2015

650

3,260

 

2016

359

3,343

등록건수 하락

(‘16년 특허 180, 상표 101, 의장 32, 실용신안 8, S/W등록 등 38)

 

3) 최근 3년간 평가별 창업보육센터 지원내역

구분

2014

2015

2016

지원금계

392,850

393,720

393,998,

S등급

15

11

13

A등급

15

12

13

B등급

15

11

14

C등급

1

12

3,포기1,리모델링1

합계

46

46

45

 

4) 최근 3년간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수

구분

2014

2015

2016

합계

1,124

1,153

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