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이란 용어 바꿔야 - 중부일보

등록일 : 2005-11-29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325
첨부파일 - 첨부된 파일 없음

장애인이라는 말은 언어부터가 편견을 가질 수 있는 용어이다. 장애인이라는 용어보다 재활인, 생활인 등이 좀더 나은 표현이 아닐까 싶다.

그동안 경기도의회에서는 장애인대책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활동을 하였으나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제207회 정례회 제1차 의회운영위원회에서 장애인대책특별위원회 활동기간을 연장하기로 의결하였다. 장애인은 어떤 특정한 사람에게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노인, 아동 누구나 할 것 없이 언제든지 장애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재난에 대비해서 보험을 들듯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는 것이 정상적인 모습이라는 사회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우리 사회는 이러한 인식이 결핍되어 있다.

특히 현대사회가 고도산업 사회로 발전해감에 따라, 선천적인 장애인과 후천적인 장애인이 날로 증가해 가고 있는 상황이기에 단순히 장애인의 문제를 한 개인의 문제로만 볼 수 없다.

장애인의 복지는 장애인의 사회복귀 뿐 아니라 계속적으로 직업을 가지고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장애인 복지사업은 일괄된 과정이어야 하며 더욱이 의료, 직업, 교육, 생활원조 등과 공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또한 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그들의 상태를 고려하고 이해되어져야 하며 장애인 개개인이 혜택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장애인들이 사회에 원활이 적응할 수 있는 면들을 고려하고 장애인의 직업 선택에 있어서 그들의 능력이 적합한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장애인 복지사업의 배경에는 사회의 올바른 인식과 지지가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태도로서 장애인의 잠재능력을 인정하고 비장애인과 같이 인격적 존재로 인식하는 자세가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장애인의 접근권과 이동권이 법적으로는 보장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물리적 사회환경이 장애인이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편리한 것은 아니다.

장애인의 교육수준은 비장애인과 비교했을 때 매우 낮다. 자료에 따르면 장애인의 절반정도가 초등학교 교육을 받은 정도이고, 대학이상의 교육을 받은 장애인은 전체 장애인의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장애에 대한 일반 사회의 편견과 차별, 그리고 교육, 직업 등의 사회적 환경과 이동권 및 접근권의 물리적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어울리는 기회를 자주 갖지 못하게 된다.

현대사회에서 장애인문제는 한 개인의 문제로 돌릴 것이 못된다. 사회의 문제이며 사회전체의 책임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인은 누구나 장애인이 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장애인에 대한 관심은 바로 자신에 대한 관심일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며 할 때이다. 장애는 사회의 장벽이 아니다.

장애인은 사회에서 거부해야 할 사람이 아니라 함께 더불어 가야 하는 동반자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