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진웅의원,따복공동체지원단 행정사무감사관련

등록일 : 2016-11-03 작성자 : 언론홍보담당관 조회수 : 367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은 물론이고 마을의 공동과제인 육아, 교육, 노인, 청년 등 많은 부문에서 사람중심 호혜순환의 경제를 주도해야 할 사회적경제기업과 마을기업의 부실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경기도내 사회적기업 매출 등 변동추이를 자료를 통해 분석해본 바 201434.6%, 201536.6%, 2016년은 9월 현재 51.9%의 사회적기업이 이익을 내지 못하고 손실상황인 것으로 드러났고,

 

마을기업 또한 201445,7%, 201530%이상이 이익을 전혀 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음.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이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어 심각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음.

 

서진웅 의원은 행감에서 사회적경제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경기도가 사회적경제 시장 및 유통활성화와 사회적 공공구매 플랫폼구축을 시급히 요구하였으며 또한 도와 시·· 공공기관 등의 협력체계 구축도 주문하였음

 

경기도청 따복공동체지원단장은 전반적인 사회적기업의 부실을 인정하며 조속히 대책을 강구해 시행하겠다고 답변하였음.

 

참고) 경기도내 사회적기업·마을기업 매출 등 변동추이와 신규지정현황, 일자리창출현황,사회개발비 지원현황은 아래의 표와 같음.

 

경기도내 사회적기업 매출 등 변동추이 (단위: , 천원)

구분

업체수

총매출액

손실업체수

손실업체율

이익업체수

이익업체당평균이익

2014

390

411,522,755

135

34.6%

255

178,886

2015

447

505,433,797

164

36.6%

283

120,375

2016.9

445

371,702,738

231

51.9%

214

81,044

 

경기도내 마을기업 매출 등 변동추이 (단위: , 천원)

구분

업체수

총매출액

손실업체수

손실업체율

이익업체수

이익업체당평균이익

2014

164

14,388,041

75

45.7%

89

20,641

2015

157

21,311,502

47

30.0%

110

15,180

2016.9

148

13,070,686

 

 

 

 

 

경기도내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신규 지정현황

구분

2014

2015

2016

예비사회적기업

45

65

57

마을기업

16

13

5

협동조합

425

406

225

 

경기도내 사회적기업 일자리창출사업 추진현황

구분

2014

2015

2016

사업체수

160

161

130

신규일자리창출수

612

614

488

 

경기도내 사회적기업 사업개발비 지원현황(단위: , 천원)

구분

2014

2015

2016

업체수

208

152

112

지원금액

2,719,589

2,162,916

1,617,945

 

서진웅 의원.jpg